구글 DNS 설정은 인터넷 연결 시 사용하는 DNS 서버를 구글의 공개 DNS 서버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경험하거나 특정 웹사이트 접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구글 DNS
기본 DNS 서버(P): 8.8.8.8
보조 DNS 서버(A): 8.8.4.4
* * *
구글 퍼블릭 DNS (Google Public DNS)와 같은 해외 DNS로 변경하면
1. 유튜브나 페이스북 같은 해외 서비스의 접속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음
- 단, 개인환경에 따라 해외 서비스가 빨라지지 않을 수도 있고 국내 서비스가 느려질 수도 있음
2. 국내 ISP(KT, SKB, LG U+) DNS에서 막은 사이트가 접속이 됨
※ 구글 DNS가 해외 DNS 중에서 일반적으로 보안 신뢰도가 높고 빠르므로 추천합니다.
구글 DNS 설정 방법
'바탕화면'이나 '네트워크 연결'에서 자신의 네트워크 이더넷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이더넷 속성을 연다
이더넷 속성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을 클릭하고 아래 '속성'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기본 설정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에 구글 DNS IP를 각각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이제 PC를 재시작하거나 이더넷을 다시 연결하면 구글 DNS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상입니다.
[다른글]
CURL 명령어 사용법 총정리
CURL 명령어 사용법 총정리합니다. CURL은 명령줄 또는 스크립트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주로 HTTP, HTTPS, FTP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웹 요청을 만들고 응답을
www.ihee.com
'IT > OS·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RL 명령어 사용법 총정리 (2) | 2024.09.02 |
---|---|
Ubuntu 서버에서 SSH 포트 변경 방법 (0) | 2024.07.01 |
윈도우11 디펜더 끄기 비활성화 방법 (0) | 2022.09.25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USB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5) | 2022.01.30 |
인터넷 딜레이, 속도 개선을 위한 랜카드 설정 최적화 방법 (17) | 2021.11.15 |